Blog

토요심리학 시즌 7

강사,교육담당자, 작가,기획자 및 콘텐츠 창작을 하고 싶은 일반 직장인들을 위한 국내 최고의 심리학 학습모임 “토요심리학”이 그 일곱번째 시즌 “설득” 이라는 주제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Q1. 토요심리학이 뭔가요?    국내 최고의 심리학 학습전문 기관인 GAM컨설팅에서 2020년 첫번째 시즌을 시작한 이래, 여섯번의 시즌 동안 무려 130여명의 졸업생과 50권의 심리학 전문서적을 분석하여 학습한 국내 유일의 사설 심리학 학습 프로그램 입니다.  … Read more

고아인 상무의 창의성은 질보다는 양이다

고아인(이보영 역)은 흙수저에 지방대 출신, 부모 없이 혼자서 독학으로 일하고 공부해서 대기업 VC그룹의 광고 대행사인 VC기획에서 최초 여성 상무가 된 입지전적 인물이다.  비록 회장딸 강한나(손나은 역)를 위한 카페트 역할로 1년짜리 한시적인 임원이었지만 그녀는 이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여 정적인 최창수 상무(조성하 역)와 한판 대결을 펼치면서 VC그룹의  후계 구도 전쟁에서 활약을 하며 그룹의 중심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런 … Read more

만족지연은 자제력과 동의어가 아니다

“어릴 때 자제력이 인생의 성공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다.” 마시멜로 실험 이야기다. 한 선생님이 만 4세 가량의 아이에게 아이들이 너무나 좋아하는 마시멜로 하나를 책상 위에 올려놓고 이렇게 말한다.”선생님이 15분 뒤에 돌어올 거야. 그때까지 이걸 먹지 않고 기다리면 하나를 더 줄께”이 때, 기다려서 두 개를 받았던 아이들을 추적 관찰했다. 이 아이들은 청소년기에 리더십, 인지능력, 학습능력, 평판, 학업성적, … Read more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통해 본 의사결정 방식

우영우(박은빈 역)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로스쿨을 수석 입학, 졸업, 변호사 시험 최고득점을 했지만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어서 취직을 못한다. 천신만고 끝에 아버지의 친구가 로펌 대표로 있는 법무법인 한바다에 낙하산으로 입사를 하면서 좌충우돌 초임 변호사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정명석(강기영 역) 변호사는 15년 차 베테랑 변호사로 법무법인 한바다의 수석 팀장급이다. 그의 팀에 우영우가 배치되어 어떻게 이런 애를 가르치냐면서 … Read more

상사를 설득하기 가장 좋은 방법

상대를 설득할 때 어떻게 말하는 것이 좋을까? 감성적, 정서적 설득부터 논리적 설득이나 거절할 수 없는 제안을 하는 방식 등 여러 가지 설득의 방법이 논의되고 있지만….  만약에 그 상대가 당신의 상사라면 우리는 조금 다른 측면에서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  당신의 상사는 당신이 논리적으로 설득하려 제시하는 논거를 쉽게 반박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당신이 감성적 설득을 시도하면 당신이 … Read more

심리학자들은 왜 MBTI를 비판할까?

심리학자들은 왜 MBTI를 비판할까?  몇 년전 대학원 조직심리학 수업시간에 성격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BIG 5 에 대해 수업을 듣는데 당시 기업교육에서 많이 활용하던 MBTI성격진단에 대한 이야기를 했더니 교수님께서 내게 이런 피드백을 주셨다.  “ 음.. 기업교육을 하시는 분들께는 대단히 죄송한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사실 학계에서 MBTI는 거의 인정을 안 해 줍니다. 검증도 제대로 안되었다고 보고 있구요, … Read more

적극적인 사람이 성과를 낸다는 증거는 없다.

적극적인 사람이 성과를 낸다는 증거는 없다  당신이 리더라면 어떤 구성원을 원하는가?1. 적극적이고 열정적으로 아이디어를 내고 실행하는 팀원2. 치밀하게 계획하고 따져본 후 실행하는 팀원  많은 조직과 리더들은 1번의 가치를 2번보다 훨씬 높게 둔다. 심리학에서는 적극적이고 열정적인 태도를 적극성(proactivity)이라고 하고 계획하고 따져본 후에 실행하는 성격적 특성을 성실성(conscientiosness)이라고 한다. 조직은 구성원들의 적극적이고 열정적인 태도가 더 커지기를 기대한다. 이에 … Read more

임파워링 리더십에 최상 궁합의 부하직원은?

임파워먼트(empowerment)란 리더가 구성원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권한을 위임하여 스스로 의사결정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높이는 활동을 말한다. 임파워링 리더십의 장점은 매우 크다. 리더가 구성원의 역량을 믿고, 정보를 제공하고 권한을 위임하면 구성원들은 기꺼이 책임을 지며 리스크를 감수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로 혁신적 변화를 이끌어 낸다. 그런데, 모든 구성원들에게 다 해당되는 말일까? 리더십 전문가들은 구성원의 역량이 그만큼 높은 단계에 이르러야 위임의 효과가 높다고 말한다. 대표적인 이론이 … Read more

꼼꼼한 팀장이 완벽주의를 벗어나는 방법

김팀장님은 팀원 시절부터 늘 철두철미하게 완벽한 업무를 추구했다. 작은 실수로 문제가 생기면 모든 고생이 물거품이 되는 것이 너무 아까워 모든 일을 꼼꼼하게 실수없이 완벽하게 하려고 노력했다. 이러한 성격과 업무스타일은 그가 담당한 업무와 잘 맞았다. 그래서 좋은 성과와 실적으로 연결되었고, 영광스럽게 동기들 중 가장 먼저 팀장이 되었다 팀장이 된 후 그는 자신과 같은 방식으로 일할 것을 … Read more

목표보다 목표지향성이 더 중요하다.

목표가 없는 조직을 상상해 본 적이 있는가?조직 구성에 있어 목표는 필수적이다. 목표 설정과 관리는 곧 조직 성과와 생존으로 직결된다. 그런데, 목표 설정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있다. 바로 목표 지향성(goal orientation)이다. 강력한 목표 지향성을 지닌 기업은 어떤 계획이 핵심 목표에 부합하는지, 어떤 계획이 핵심 목표에 방해가 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명확한 지향성은 곧 … Read more

원하는 것을 이루는 두가지 방법

마시멜로 이야기를 아는가?  우리나라에서 2007년에 출간되어 무려 350 만부가 판매된 책이다.  읽어보면 사실 그 정도까지 팔릴 책은 아니었다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나름 추측되는 이유가 있다. 이 책은 심리학 역사에 가장 유명한 실험 중의 하나이다. 1968년 월터미셀 박사 팀이 스탠퍼드 대학교 부설 “빙 유치원”에서 시작한 이래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던 유사 실험의 결과를 이야기 형식으로 다루고있다.  빙 유치원에 … Read more

공감하다 피로에 쓰러지는 사람들

사람들은 시대적 화두는 변해도 변치 않은 인간이 지녀야 할 가치는 소통과 공감이라고 믿는다. 공감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단순한 성격적 특성이 아니라, 단점을 넘어 결함이다. 특히, 리더가 공감 능력이 없다면 소속된 모든 구성원들을 불행하게 만든다. 공감은 중요하지만, 부정적 측면 역시 크다. 폴 블룸(Paul Bloom)은  공감의 배신에서 공감은 어리석은 판단을  이끌어내고 무관심과 잔인함을 유발하며, 친구, 부모, 남편, … Read more

뜬구름 잡는 리더십 교육은 쓸데 없다는 당신의 상사에게

한 달 동안 몇 차례 제안서를 주고받으며 미팅도 했던 고객사의 리더십 프로젝트가 최종 진행이 안 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담당자는 너무 미안하다는 말로 안타까워 하면서 내년에 다시 한번 시도해 보겠다고 위로 아닌 위로를 보냈지만 이런 위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이 어디 하루 이틀인가..    “이유가 뭐예요?” “올해 새로 오신 경영지원 본부장님이 재무 출신인데 회사가 … Read more

사무실 책상의 화분 하나가 성과를 높일 수 있다.

사회생물학의 창시자인 에드워드 윌슨(Edward Wilson) 하버드대 교수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본능적 갈망을 바이오필리아(biophilia)라고 불렀다. 우리는 막연히 자연과 가까워질 때 몸과 마음이 더 건강해질 것이라고 믿는다. 도시에 사는 많은 직장인들은 주말이나 휴가철에 삭막한 도시를 떠나 강과 산으로 바다로 초원으로 달려가 힐링을 갈구한다. 인간의 무의식은 자연으로 향해 다른 생명들과 연결점을 갈망하기 때문에 바이오필리아를 목마름에 비유해 녹색갈증(綠色渴症)으로 부르기도 … Read more